러닝화 구조 용어 정리! 나에게 맞는 러닝화 알고 구매하기!
목차
러닝을 할 때 필요한 장비는 여러 가지 있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고 가치 있는 장비라면 바로 러닝화입니다. 러닝화를 구매하기 전 알고 있으면 좋은 러닝화의 구조와 부분별 용어 정리에 대해 공유합니다. 나에게 맞는 러닝화 알고 구매하면 이중지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
러닝화 구조와 용어 정리
달리기라는 취미 생활은 다른 운동에 비해서 비교적 비용이 많이 들지 않습니다. 간편한 복장으로 시작할 수 있기 때문에 부담 없는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러닝화는 기능과 소재에 따라서 가격 차이가 큽니다.
한번 구매하게 되면 나에게 맞는지에 대해 중요하게 따져 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러닝화를 구매하기 전 러닝화의 구조와 명칭을 알고 구매하는 것이 좋습니다. 올바른 러닝화 구매에 도움이 되는 글은 아래의 이전 글을 참고해 주세요.
어퍼 (Upper)
보통 발의 윗부분을 말하며 발등을 덮는 부분입니다. 발을 잘 감싸주는 느낌으로 내 발에 딱 맞아야 하며 착용했을 때 안정감을 느낄 수 있어야 합니다. 어퍼는 소재에 따라 주행 중에 신발 내부 온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통기성이 좋은 니트, 메쉬 소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러닝화 브랜드 각각의 제품 라인업에 따라 어퍼의 소재가 다릅니다. 발을 감싸주는 느낌과 통기성을 잘 체크해야 합니다. 사람마다 발의 형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직접 신어보고 통기성은 좋은지 내 발을 감싸주는 느낌이 불편하지 않은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 발의 안정감 체크
- 통기성 체크
인솔 (Insole)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깔창을 인솔(Insole)이라고 합니다. 미드솔과 발 사이에 위치하며 발바닥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인솔의 형태에 따라 2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러닝화 내부에 붙어있는 형태와 따로 분리하여 교체가 가능한 형태가 있습니다.
보통 오솔라이트(Ortholite) 인솔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오솔라이트 인솔은 가벼운 무게와 통기성 그리고 쿠셔닝이 좋은 장점이 있습니다. 기록을 위한 카본 레이스 러닝화의 경우 경량화를 위해 매우 얇은 인솔이 접착된 형태로 출시되기도 합니다.
인솔의 경우 따로 구매하여 교체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신고 싶은 러닝화인데 인솔이 뭔가 불편하다면 인솔만 다른 제품으로 구매하여 교체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무엇보다 내 발이 편한 것이 우선입니다.
- 러닝화에 붙어있는 인솔
- 러닝화와 분리가 가능한 교체용 인솔
신발 끈 (Shoe lace)
러닝화에서 신발끈은 2가지 형태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돌기가 있는 끈과 돌기가 없는 끈이 있습니다. 끈을 묶는 이유는 역시 잘 풀리지 않게 고정하는 역할이죠. 아무래도 돌기가 있는 끈의 경우는 마찰력이 생겨서 잘 풀리지 않아 고정력이 좋습니다.
보통 카본 러닝화 또는 레이싱화 같은 고가의 러닝화 라인업에는 돌기가 있는 신발끈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신발끈은 풀리지 않게 묶는 것이 좋으며 돌기가 없는 끈이라도 묶는 방법에 따라 고정력이 다릅니다. 대회에서 신발끈이 풀리는 것은 치명적입니다. 러닝화 끈을 잘 묶는 방법으로 잘 고정하여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 돌기가 있는 신발끈
- 돌기가 없는 신발끈
미드솔 (Mid sole)
미드솔 (Mid sole)은 신발의 중간에 위치한 쿠션 부분 전체를 말합니다. 러닝화에서 미드솔은 정말 중요한 부분입니다. 미드솔의 쿠션은 러닝화의 핵심이며 정체성이기도 합니다. 미드솔은 소재에 따라 구분됩니다. CMEVA, INJECTION, SEBS, TPU, PEBAX (PEBA) 등 다양하게 있습니다.
어떤 미드솔 소재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착지 시 충격을 흡수하고 에너지를 리턴하는 성능이 달라집니다. 현재 러닝화 시장을 이끌고 있는 미드솔 소재의 트렌드는 역시 PEBA 소재입니다.
브랜드별 미드솔 종류
미드솔 소재 분류 | 브랜드별 미드솔 (쿠션) |
PEBA | 줌X폼, 부스트라이트, 플로트라이드, 파워런PB, 프로플라이 X, 퓨얼셀 |
E-TPU | 에버런, 부스트폼 |
CMEVA | 다이나믹 서포트, 다이나믹 듀오맥스 |
INJECTION | DNA, 프레시폼, 웨이브폼, 플라이트폼 |
SEBS | 리액트 |
PU | 이그나이트 |
PEBA 소재의 미드솔
나이키 줌엑스폼, 아디다스의 부스트라이트, 써코니 파워런PB 파워런HG, 호카 프로플라이 X, 뉴발란스 퓨얼셀, 아식스 FF 블라스트 터보, 리복 플로트라이드 등..
- CMEVA
- INJECTION
- SEBS
- TPU
- PEBAX (PEBA)
- PU
아웃솔 (Out sole)
러닝화와 지면이 맞닿는 바닥 부분입니다. 아웃솔은 노면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내구성이 좋으며 그립력이 좋은 미끄러지지 않는 아웃솔의 선택을 고려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아웃솔 러버가 바닥면 전체가 뒤덮인 아웃솔이 있으며 부분적으로 있는 아웃솔이 있습니다. 물론 러닝화의 경량화를 위해 부분 아웃솔을 채택하고 있는 트렌드입니다. 그립력과 내구성이 좋은 아웃솔은 푸마(PUMA)의 푸마그립이 대표적입니다.
힐컵 (Heel cup, Heel conunter)
힐컵은 발의 뒤꿈치 부분을 말하며 뒤꿈치를 단단하게 고정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힐컵의 강도에 따라 안정성이 달라집니다. 힐컵이 내 발에 맞지 않는 경우나 제품에 따라 힐 슬립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힐컵은 기록을 위주로 하는 레이싱화 (카본 플레이트화) 경우 경량성을 추구하여 유연한 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직 근육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은 초보 러너의 경우는 안정성이 좋은 빳빳한 힐컵을 선택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스택 하이트 (Stack height, Heel height)
스택 하이트(Stack height)는 미드솔의 높이를 말합니다. 뒤꿈치 부분의 높이를 힐 하이트(Heel height)라고 하며 힐 하이트가 높은 러닝화의 경우는 발의 뒤꿈치로 착지하는 힐 스트라이크(뒤꿈치 착지) 러너 또는 몸무게가 많이 나가는 러너의 경우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러닝을 오래 한 숙련된 러너들의 경우 보통 중족부로 착지하는 미드풋 러너가 많습니다. 미드풋 러너의 경우는 중족부 착지로 인해 힐 하이트가 낮은 러닝화가 좋습니다. 발 착지의 러닝 주법에 관련된 내용은 아래의 이전 글을 참고해 주세요.
러닝 주법 스트라이크(포어풋, 미드풋, 힐풋) 3가지 유형
오프셋 (Offset, Heel to the drop)
오프셋은 스택하이트(미드솔 높이)의 앞부분과 뒷부분의 차이를 말합니다. 설명이 뭔가 어렵죠? 쉽게 말해서 만약 미드솔 앞부분의 높이가 28mm 뒷부분의 높이가 36mm라면 오프셋은 8mm가 됩니다.
최근 러닝화 트렌드로는 중족부로 착지하는 미드풋 착지가 트렌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프셋은 보통 4mm-8mm 정도로 러닝화가 많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토박스 (Toe box)
토박스는 러닝화의 앞부분 발가락이 있는 곳을 말하며 러닝화 브랜드에 따라 또는 제품 라인업에 따라 토박스의 공간감이 모두 다릅니다. 토박스는 적당한 공간이 필요하며 엄지발가락 기준 약 1cm 이상의 공간을 필요로 합니다. 발가락 윗부분과 어퍼 사이의 공간도 적당히 있어야 좋습니다.
토박스는 공간감의 부분이기 때문에 러닝화를 온라인 구매 할 때는 알 수가 없습니다. 러닝화 스펙 표기 부분에서 토박스의 공간감을 표기할 수 없는 부분이기 때문에 오프라인 매장이나 전문 러닝화 매장에서 직접 신어보고 토박스의 공간감을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신발혀 (Tongue)
신발혀, 텅, 설포라고 합니다. 신발혀는 발등과 끈 사이에 위치하여 신발끈 압력으로부터 발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무조건 두껍다고 좋은 것은 아니며 무조건 얇다고 해서 좋은 것 또한 아닙니다.
신어봤을 때 발등의 압박 분산이 잘 되는지 발등에서 느껴지는 이질감은 없는지 잘 체크를 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또한 신발혀의 기장이 너무 길면 발목을 터치하여 불편할 수 있습니다.
플레이트
카본 플레이트 (Carbon plate)
카본 러닝화는 기술의 집약체인가 기술 도핑인가에 대한 논란이 참 많죠? 카본 러닝화는 미드솔에 삽입되어 있는 전체 길이의 카본 플레이트(탄소 섬유 판)가 특징입니다. 주로 플래그쉽 엘리트 러닝화, 레이싱화에 카본이 삽입되어 있으며 카본 러닝화는 가격 또한 높습니다.
부분적으로 카본 플레이트를 삽입한 러닝화도 있으며 카본 플레이트는 매우 견고하고 반응성이 뛰어난 플랫폼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에너지 리턴에 초점을 맞춰서 주자가 한 걸음 한 걸음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해 줍니다. 개인 PB, 빠른 달리기를 위해 설계된 카본 플레이트는 현재 러닝화의 트렌드의 혁신이며 기술의 집약체입니다.
카본 러닝화 관련 콘텐츠는 아래의 이전 글을 참고해 주세요.
써코니 엔돌핀 프로 3과 스피드 3의 차이 (Saucony Endorphin Pro3 vs Speed3)
나이키 알파플라이 1과 알파플라이 2의 차이 (러닝화 추천과 후기)
아치 서포터
아치 서포터 (Arch supporter)
평발과 발의 안쪽이 무너지거나 과회내에 따라 러너에게 필요한 아치 서포터입니다. 내전과 외전이 있는 발의 회내가 있거나 평발이라면 아치 서포터가 있는 러닝화의 선택이 좋습니다. 미드솔에 따라 회내를 방지하는 기술이 쓰이기도 하지만 아치 서포터가 있어서 회내를 줄여주기도 합니다.
아치서포터가 있는 안정화의 경우 유연하지 않아서 불편하다고 하는 러너가 있기도 합니다. 안정화의 선택기준이라면 회내가 있는지를 정확하게 체크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러닝 전문 매장에서 발의 컨디션과 러닝 자세를 체크해 보고 회내가 있는지 확인 후 안정화를 선택해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추천하는 안정화 제품
- 아식스 젤카야노 30
- 뉴발란스 프레시폼 X 860 V13
- 브룩스 아드레날린 GTS 22
- 호카 아라히 6
마치는 글과 생각 공유
러닝화 구조 용어 정리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나에게 맞는 러닝화 알고 구매하기면 이중지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달리기를 위해 설계된 러닝화의 경우 체크해야 할 부분이 참 많습니다.
가벼운 조깅부터 기록을 위한 빠른 스피드 그리고 장거리 달리기를 위한 내 발에 맞는 러닝화를 선택하기 위해 러닝화의 구조별 용어를 숙지하여 러닝화 선택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항상 즐겁고 부상 없는 러닝 하시기 바랍니다!
2025 마라톤 대회 일정
단순히 해당 사이트로 링크가 아닌 마라톤 대회 각각의 내용을 하나하나 정리하였습니다. 2025년 대회가 신규 접수되는 대로 빠르게 정리하여 안내드리겠습니다. 🔽 아래 대회명 링크를 참고하시고 참가신청하시기 바랍니다.
1월
대회일 | 대회명 | 지역 | 장소 |
2025년 1월 1일 (수) | 2025 새해일출런 | 서울 | 신정교하부육상트랙구장 |
2025년 1월 1일 (수) | 2025 선양맨몸마라톤 | 대전 | 엑스포과학공원 물빛광장 |
2025년 1월 4일 (토) | 새해맞이 거제 계룡산 임도 RUN | 경남 | 거제시 카페 엄마의바다 |
2025년 1월 5일 (토) | 제17회 전국 새해알몸마라톤 | 대구 | 2.28 자유광장 |
2025년 1월 5일 (토) | 서울 불암산트레일 | 서울 | 상계역 1번출구 |
2025년 1월 3일 (금) ~ 1월 6일 (월) 총 4일간 | 2025 전마협 제주 4Full 마라톤대회 | 제주 | 제주종합경기장 |
2025년 1월 12일 (일) | 부산 회동호트레일 | 부산 | 선한청지기교회 앞 소공원 |
2025년 1월 12일 (일) | 제19회 여수해양마라톤 | 전남 | 여수 진남경기장 주경기장 |
2025년 1월 12일 (일) | 제17회 제천의림지 삼한초록길알몸마라톤대회 | 충북 | 제천 의림지 수변무대 |
2025년 1월 19일 (일) | 2025 코리아 스노우 트레일 | 강원 | 태백 알리소 |
2025년 1월 19일 (일) | 광주 무등산 트레일런 | 광주 | 무등산국립공원 증심사지구 |
2월
대회일 | 대회명 | 지역 | 장소 |
2025년 2월 1일 (토) | 2025 평창 대관령 알몸 마라톤 | 강원 | 평창 해피700센터 |
2025년 2월 2일 (일) | 대구 붕어빵트레일 | 대구 | 대구남구구민체육광장 강당골입구 |
2025년 2월 8일 (토) | 2025 전마협 새해맞이 보성마라톤 | 전남 | 보성공설운동장 |
2025년 2월 9일 (일) | 서울 북한산트레일 | 서울 | 우이공원유원지 |
2025년 2월 15일 (토)~ 16일 (일) | 2025 런콥 브레이킹 PB 30K | 경기 | 미사경정공원 |
2025년 2월 15일 (토) | 희망드림 제22회 동계국제마라톤 | 서울 | 여의도 한강공원 이벤트광장 (여의나루역) |
2025년 2월 16일 (일) | 부산 영도 태종대 트레일 | 부산 | 영도 남항대교 수변야외공연장 |
2025년 2월 16일 (일) | 2025 전마협 청주 무심천 마라톤대회 | 충북 | 청주 무심천 체육공원 (롤러스케이트장) |
2025년 2월 23일 (일) | 제7회 산불조심 한국서울마라톤 2025 | 서울 | 탄천 광평교 아래 (강남 송파 둘레길) |
2025년 2월 23일 (일) | 제21회 밀양아리랑마라톤대회 | 경남 | 밀양종합운동장 |
2025년 2월 23일 (일) | 2025 대구마라톤 | 대구 | 대구 스타디움 |
2025년 2월 23일 (일) | 고구려 마라톤 2025 | 서울 | 뚝섬한강공원 수변무대 |
2025년 2월 23일 (일) | 2025 챌린지 레이스 | 서울 | 여의도한강공원 이벤트광장 |
3월
대회일 | 대회명 | 지역 | 장소 |
2025년 3월 1일 (토) | 머니투데이방송 31절 마라톤대회 | 서울 | 뚝섬한강공원 수변무대 |
2025년 3월 2일 (일) | 2025 수원국제하프마라톤 | 경기 | 수원종합운동장 |
2025년 3월 2일 (일) | 2025 버킷런 | 서울 | 여의도한강공원 이벤트광장 |
2025년 3월 2일 (일) | 2025 구미박정희마라톤 | 경북 | 구미시민운동장 |
2025년 3월 8일 (토) | 제3회 코리아오픈 레이스 | 서울 | 뚝섬한강공원 수변무대 |
2025년 3월 8일 (토) | 제20회 부산 비치울트라 마라톤 대회 | 부산 | 다대포 해수욕장 주차장 |
2025년 3월 9일 (일) | 2025 MBN 블루레이스 거제 | 경남 | 거제스포츠파크 |
2025년 3월 9일 (일) | 2025 성주 참외 전국마라톤 | 경북 | 성주별고을운동장 |
2025년 3월 9일 (일) | 정읍동학마라톤대회 | 전북 | 정읍시종합경기장 |
2025년 3월 16일 (일) | 2025 서울마라톤 (동아 마라톤) | 서울 | 풀코스: 광화문광장, 10K: 잠실종합운동장 |
2025년 3월 22일 (토) | 2025 지리산 봄꽃레이스 | 전남 | 구례 토지조등학교 |
2025년 3월 23일 (일) | 제12회 남산우정 마라톤 대회 | 서울 | 장춘단 야구장 앞 |
2025년 3월 23일 (일) | 2025 전마협 금산마라톤대회 | 충남 | 금산인삼엑스포주차장 |
2025년 3월 29일 (토) | 제22회 태화강 국제마라톤 | 울산 | 태화강 국가정원 야외공연장 |
2025년 3월 30일 (일) | 제24회 합천벚꽃마라톤 | 경남 | 합천공설운동장 |
4월
대회일 | 대회명 | 지역 | 장소 |
2025년 4월 5일 (토) | 제32회 경주벚꽃마라톤 | 경북 | 보덕동 행정복지센터 |
2025년 4월 5일 (토) | 제5회 장수트레일레이스 | 전북 | 장수종합경기장 |
2025년 4월 6일 (일) | 2025 영주 소백산 마라톤 | 경북 | 영주시민운동장 |
2025년 4월 6일 (일) | 제7회 망우산 임도산불조심 트레일 러닝 | 서울 | 사가정공원 |
2025년 4월 13일 (일) | 제18회 영남일보 국제 하프마라톤 | 대구 | 대구스타디움 |
2025년 4월 12일 (토) | 제14회 양천마라톤대회 | 서울 | 안양천 해마루축구장 |
2025년 4월 27일 (일) | 제7회 연합뉴스 기장바다마라톤 | 부산 | 오시리아 물음표공원 일원 |
2025년 4월 27일 (일) | 제23회 통일기원포항해변마라톤 | 경북 | 포항종합운동장 |
5월
대회일 | 대회명 | 지역 | 장소 |
2025년 5월 3일 (토) | 제23회 서울 불,수,사,도,북 5개산 종주 | 서울 | 원자력병원 (불암산 백세문) |
2025년 5월 4일 (일) | 제22회 부산마라톤 | 부산 | 대저생태공원 |
2025년 5월 4일 (일) | 소아암환우돕기 제22회 서울시민마라톤 | 서울 | 여의도 한강공원 이벤트광장 |
2025년 5월 24일 (토) | 제30회 바다의 날 마라톤 | 서울 | 상암 월드컵공원 평화광장 |
2025년 5월 24일 (토) | 2025 옥스팜 트레일워커 | 강원 | 인제군 일대 |
6월
대회일 | 대회명 | 지역 | 장소 |
2025년 6월 1일 (일) | 희망드림 제22회 새벽강변 국제마라톤 | 서울 | 상암 월드컵공원 평화광장 |
마라톤 일정 1월 부터 6월까지 상반기 총정리 내용을 개별 업로드 중입니다. 더 자세한 일정은 🔽 아래 더 보기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참고하면 좋은 콘텐츠
러닝 벨트 vs 암밴드에 대한 선택? 러닝 할 때 추천하는 것!
'run' 카테고리의 다른 글
LSD 달리기 훈련 방법과 효과: 지구력과 잠재력, 인내의 미학! (0) | 2023.09.06 |
---|---|
조깅에 적합한 러닝화 추천과 선택 가이드 (0) | 2023.09.05 |
LSD 러닝 훈련 할 때 수분 공급에 필요한 수낭 물백 리저버 활용 (0) | 2023.08.10 |
러닝 벨트 vs 암밴드에 대한 선택? 러닝 할 때 추천하는 것! (0) | 2023.08.07 |
여름 달리기에서 수분 보충 땀 관리 그리고 러닝 웨어 TIP (0) | 2023.07.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