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16

다큐멘터리 영화 <프리 솔로> 손에 땀이 나게 만드는 97분의 러닝타임 2017년 6월 3일 '알렉스 호놀드 (Alex Honnold)'는 세계 최초 프리솔로 (인공적인 장비 없이 오직 맨몸으로만 등반하는 것) 등반으로 정상에 올랐다는 것이다. 한 순간의 실수는 죽음으로 이어질 수 있는 97분의 러닝타임은 손에 땀이 나게 만들고 제작진들 또한 호놀드를 바라보며 촬영한다는 게 쉽지 않았다. 요세미티 국립공원 '엘 캐피탄'의 '프리라이더 5.12d (등반코스 난이도)' 루트로 정상에 올랐다. 어쩌면 가장 무모하고 아찔하고 경이롭기까지 하다. 영화 는 중국계 미국인 부부 지미 친 (Jimmy Chin) 엘리자베스 차이 베사헬리 (Elizabeth Chai Vasarhelyi) 감독과 함께 내셔널 지오그래픽에서 제작한 2018년 다큐멘터리 영화다. 전 세계 등반가 중에서 1%만이 .. 카테고리 없음 2023. 2. 4.
영화 <올 이즈 로스트> 삶과 죽음의 경계, 한 남자의 험난한 생존 영화 는 매우 현실적인 묘사로 대자연에 맞서는 '로버트 레드포드'의 무언의 디테일한 연기가 단연 돋보이는 작품이다. 미니멀한 구조와 단 한 명의 주인공(로버트 레드포드) 그리고 대사는 오로지 'SOS', 'F**K', 'Help' 몇 마디 없는 대사만으로 거친 바다에서 고독과 맞서 싸우는 한 남자의 생존과 험난한 조난기. 생존을 위한 사투, 죽음을 향한 두려움, 희망과 절규 그리고 바다의 장엄함에 대한 무언의 의미는 오직 영화를 보는 사람을 항할 뿐이다. 절망 속에서 지쳐가는 한 남자(로버트 레드포드)가 대자연에 맞서는 실존적인 인간을 묵묵하게 그려낸 정말 말이 필요 없는 영화이다. 홀로 항해를 떠난 한 남자의 요트가 표류하던 컨테이너박스에 부딪혀 심한 손상을 입게 되면서 바다에서의 생존을 위한 사투는 .. 카테고리 없음 2023. 2. 3.
자연에서의 삶을 선택한 한 남자의 로드무비 <인투더와일드> 영화 '인투 더 와일드'는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한 영화이며 세상을 떠나 자연에서의 삶을 선택한 한 남자의 로드무비다. 등의 작품에서 뛰어난 연기력을 보인 배우 '숀 펜'이 감독 및 각본을 맡고 공동 제작한 2007년 작품이다. 에베레스트 등반대의 비극 전말을 기록한 작가,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논픽션의 대가 '존 크라카우어'가 쓴 동명의 논픽션 소설책이 원작으로 유복한 가정에서 자란 '크리스'(에밀 허쉬)는 우수한 학업 성적으로 대학을 졸업하고 가족들 그 누구에게도 알리지 않고 떠난다. 크리스는 자신을 위한 새로운 삶, 사회와 소비문화로 부터의 자유, 여과되지 않은 새로운 경험을 마음껏 누릴 수 있는 삶을 선택한다. 이전의 삶과 단절하기 위해 새로운 이름까지 지으며 자신의 운명을 거머쥔 주인으로 살아간다... 카테고리 없음 2023. 2. 2.
<블랙호크다운> 소말리아 모가디슈 전투, 현대전의 바이블 '블랙호크다운'은 실화를 바탕으로 1993년 동아프리카 소말리아 '모가디슈'전투를 그린 영화다. 저널리스트 '마크 보든'의 실제 경험을 담은 동명의 베스트셀러 (Black Hawk Down: A Story of Modern War)가 영화의 원작으로 1999년 발행된 책은 실제 모가디슈에 참전했던 대원들의 상황을 디테일하게 묘사하고 논픽션의 인터뷰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영화는 의 리들리 스콧, 의 제리 브룩하이머가 진두 지휘했으며 1993년 10월 3일 모가디슈 내전의 현장으로 파견된 엘리트 특수부대원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사실을 과하게 각색했다는 비판의 여론이 있었지만 비평가들 사이에서도 호평을 얻으며 국수적 애국주의, 전쟁의 영웅주의와 같은 다소 정치적 내용은 완전히 배제하고 143분 간의 전쟁의 현.. 카테고리 없음 2023. 2. 2.
<화양연화> 은은하고 몽환적인 느림의 미학, 억제된 사랑 영화 '화양연화'는 중년의 두 남녀의 고혹적이며 완숙한 사랑을 담아낸 영화다. 왕가위 감독 특유의 미장센이 독보적이고 매력적인 작품으로 '양조위'와 '장만옥'이 주연을 맡았다. 어쩌면 이 영화는 왕가위 감독 영화 인생에 있어서 '삶의 정수'인지도 모른다. 2000년 홍콩과 프랑스의 합작으로 제작된 '왕가위'감독의 작품이다. 느린 템포와 정적인 화면구성, 절제된 감정 연기, 화려하고 강렬한 색감, 몽환적인 영상미, 파파라치처럼 훔쳐보는 듯한 카메라의 앵글, 60년대의 홍콩을 배경으로 하는 이미지 연출까지... 90년대 문화의 아이콘, 한 시대를 풍미한 왕가위 감독의 대표작이라 할 만하다. 중경삼림, 해피투게더 등의 작품에서 사용했던 고속 촬영 방식이 아닌 슬로 모션과 스톱 모션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느림의 .. 카테고리 없음 2023. 2. 1.